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정교합과 교정 치료

치과

by smile0123 2025. 2. 16. 15:55

본문

교정 치료가 필요한 골격 3 타입과 치료 시기 및 악골 교정 방법

 치아 교정은 단순히 치열을 가지런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턱뼈(악골)와 서로 조화를 이루게하여  전체적인 안모의 긍정적인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골격적 문제를 동반한 부정교합은 단순한 치아 배열만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성장기인지 혹은 성장이 끝난 시기인지에 따라 치료 접근법이 달라진다. 골격적 부정교합은 크게 Ⅰ, Ⅱ, Ⅲ급으로 나뉘는데, 그중에서도 골격 3급 부정교합(주걱턱)은 치료 시기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골격 3급 부정교합이란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돌출된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가장 큰 원인인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성장 패턴, 습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방치하면 교합 불균형뿐만 아니라 저작 기능, 발음, 안모 콤플렉스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골격 3급 유형, 치료 시기, 그리고 악골 교정 방법까지 상세히 다룰 것이다. 특히 성장기와 성인의 치료법을 구분하여 설명하며, 최근 발전한 교정 기술과 수술적 치료까지 포함하여 안내할 것이다.

1. 골격 3급 부정교합의 주요 유형

골격 3급 부정교합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① 위턱(상악)의 성장 부족, ② 아래턱(하악)의 과성장, ③ 위턱과 아래턱의 복합적인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원인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1-1. 위턱(상악)의 성장 부족

위턱의 성장이 부족한 경우, 상대적으로 아래턱이 돌출되어 보이는 양상을 띤다.

이 유형은 측면에서 봤을 때 중안면부가 함몰된 듯한 모습(dish face)을 보이며, 돌출입과는 반대되는 형태이다.

 

🔹 특징

  • 얼굴 정면에서 보면 중안면부가 평평해 보인다.
  • 측면에서 보면 코와 입 사이의 공간이 부족해 보인다.
  • 위 앞니가 아래 앞니를 덮지 못하고 반대로 물리는 경우가 많다.

🔹 치료 방법

  •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페이스마스크(Facemask) 교정을 통해 위턱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 성인의 경우, 위턱 확장 장치나 수술적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1-2. 아래턱(하악)의 과성장

아래턱의 과성장은 위턱이 정상적인 성장 패턴을 보이더라도, 상대적으로 아래턱이 지나치게 발달하여 주걱턱 형태를 만든다.

🔹 특징

  • 아래턱이 돌출되어 보이며, 턱끝이 뾰족한 경우가 많다.
  • 턱관절 통증이 동반될 수 있다.
  • 심한 경우, 입을 다물었을 때 위 앞니가 아래 앞니의 안쪽에 위치하는 반대교합이 나타난다.

🔹 치료 방법

  • 성장기 환자의 경우, 기능적 교정 장치를 사용해 아래턱 성장을 조절한다.
  • 성인의 경우,악교정 수술(양악 수술 또는 하악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1-3. 복합적인 문제(위턱 성장 부족 + 아래턱 과성장)

위턱의 성장이 부족하면서 동시에 아래턱이 과성장한 경우, 골격 3급 부정교합이 더욱 심해진다.

 

🔹 특징

  • 위턱과 아래턱의 불균형이 뚜렷하다.
  • 턱 라인이 강하게 드러나며, 얼굴이 길어 보일 수 있다.
  • 발음 문제(특히 ‘ㅅ’ 발음)가 나타날 수 있다.

🔹 치료 방법

  • 성장기에는 페이스마스크와 함께 기능적 교정 장치를 사용한다.
  • 성인의 경우, 악교정 수술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2. 치료 시기: 성장기 vs 성인

골격 3급 부정교합 치료는 환자의 성장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2-1. 성장기(어린이, 청소년) 치료

골격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시기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

 

성장기 치료는 조기 개입이 핵심이다.

여자 아이: 주로 6~10세 사이에 치료를 시작하면 위턱 성장을 촉진하고 아래턱 성장을 조절할 수 있다.

남자 아이: 여자 아이보다 2년 더 늦게 시작한다.(8~10세)

 

🔹 주요 치료 방법

  • 페이스마스크(Facemask) 교정: 위턱을 앞으로 성장시키는 장치
  • 기능적 교정 장치: 아래턱 성장을 억제하는 장치
  • 확장 장치(RPE): 위턱 폭을 넓혀 공간을 확보

2-2. 성인(성장 완료 후) 치료

골격 성장이 완료된 시점(보통 18세 이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음

 

성장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위턱과 아래턱의 성장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심한 골격 3급 부정교합은 수술을 동반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 주요 치료 방법

  • 교정 단독 치료: 경미한 골격 문제는 치아 배열 교정으로 개선
  • 악교정 수술(양악 수술, 하악 수술): 심한 경우 수술과 교정을 병행
  • 교정용 미니 스크류(TADs) 활용: 치아 이동을 극대화하여 외과적 개입 없이 치료 가능성 증가

3. 악골 교정 방법

악골 교정은 *성장기 교정(비수술적 방법)*과 *성인 교정(수술적 방법)*으로 나뉜다.

3-1. 성장기 악골 교정

  • 페이스마스크: 위턱 성장 촉진
  • 기능적 교정 장치: 아래턱 성장 조절
  • 확장 장치(RPE): 위턱 폭 확장

3-2. 성인 악골 교정(수술적 방법)

  • 양악 수술: 위턱과 아래턱을 함께 교정
  • 하악 수술(절골술): 아래턱 과성장을 조절
  • 위턱 전진술(Le Fort Ⅰ Osteotomy): 위턱을 전방으로 이동

 

구강 습관 교정

  •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나 혀 내밀기 등의 잘못된 구강 습관은 위턱과 아래턱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다.
  • 혀의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고, 코로 호흡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1. 정기적인 치과 검진
    • 성장기 동안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부정교합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특히 6~7세부터 치과에서 교정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2. 바른 자세 유지
    • 자세가 턱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시간 턱을 괴는 습관은 아래턱 성장에 영향을 미쳐 부정교합을 악화시킬 수 있다.
  3. 균형 잡힌 영양 섭취
    • 성장기에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턱뼈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히 칼슘, 비타민 D, 단백질이 풍부한 식단이 도움이 된다.

골격 3급 부정교합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성장기에는 교정 장치를 통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성인이 된 후에는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구강 건강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치과에서 조기 교정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책이다.

  • 골격 3급 부정교합은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환경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성장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부정교합을 예방할 수 있다.
  • 골격 3급 부정교합이 단순히 외모적인 문제만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부정교합이 심할 경우 저작 기능 저하, 발음 문제, 턱관절 장애, 소화 장애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아래 치아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으면 음식물을 잘 씹을 수 없어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특정 발음을 정확하게 하기 어려워져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부정교합

결론

..골격 3급 부정교합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며, 치료 시기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진다.성장기에는 기능적 교정을 통해 상악골 성장을 조절할 수 있지만, 성인의 경우 수술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의 교모? 마모?  (0) 2025.04.05
턱관절 질환  (0) 2025.03.31
유지장치란?  (0) 2025.03.28
청년 치과 의료비 지원  (0) 2025.02.28
보험 임플란트와 보험 틀니  (0) 2025.02.12
임플란트 수술과 발치 후 주의 사항  (0) 2025.02.11
치면열구전색과 불소 도포  (0) 2025.02.09
임신 개월 수에 따른 치과 진료 가이드  (0) 2025.02.08

관련글 더보기